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이명학 기자]

대웅제약(대표이사 이창재 박성수)이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이어간다.


대웅제약은 최근 미디어간담회를 열어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을 발표하고,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thynC™)가 ‘원격심박기술에 의한 감시(EX871)’ 보험수가를 획득했다고 3일 밝혔다. 씽크는 웨어러블 바이오센서, 게이트웨이, 대시보드, 모바일 대시보드(태블릿), 모니터링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환자의 실시간 생체신호를 분석 및 관리한다.


대웅제약,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 씽크\  사업 본격화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 관련 기자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대웅제약] 

대웅제약은 이번 씨어스테크롤로지의 씽크의 보험수가 획득을 계기로 올 상반기 안에 스카이랩스의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를 씽크에 연동시킬 계획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더욱 확장하고, 스마트한 의료 환경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날 대웅의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을 발표한 조병하 대웅제약 마케팅사업부장은 “아프면 병원가서 검사받고 치료하던 과거의 방식에서 이제는 평소 축적한 건강 데이터로 질환을 사전에 예측하고 관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라며, “대웅제약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인 건강 관리 솔루션을 도입, 보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를 실현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실제 대웅제약은 △연속혈당측정기 ‘프리스타일 리브레’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 △AI 실명질환 진단 보조 솔루션 ‘위스키’ 등을 출시하며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모비케어는 국내 웨어러블 심전도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며 전국 840여 개, 카트비피는 발매 4개월 만에 1200여 개의 병의원에서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대웅제약,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 씽크\  사업 본격화조병하 대웅제약 마케팅사업부장이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대웅제약]

과거 의료 체계에서는 24시간 심전도 검사(홀터)나 24시간 혈압 측정이 필요할 경우, 대부분 환자가 동네 의원에서 검사를 의뢰받아 상급 병원으로 이동해야 했다. 이는 예약과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으로 환자에게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했다. 특히 노인이나 만성질환 환자처럼 자주 의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과정이 큰 제약이다.


대웅제약이 도입한 ‘모비케어’와 ‘카트비피’ 등의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는 의원에서도 정밀 검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환자는 가까운 의원에서 24시간 심전도와 혈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을 유지한 상태로 편리하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부정맥이나 백의 고혈압 같은 초기 단계에서는 발견이 어려운 질환을 ‘빠르게’ 찾아 조기 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myung092251@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2-03 16:45:0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4차산업혁명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