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전국 택시료가 5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일 전국 택시료는 전년비 15.5% 올랐다. 2013년 12월 15.9% 오른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지난달 전체 물가 상승률(0.6%)과 비교해도 확실히 높은 수치다. 이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택시 요금 기본료가 줄줄이 인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 압구정동 현대백화점 본점 도로를 택시가 운행하고 있다. [사진=더밸류뉴스]
지역별로 택시료가 가장 크게 오른 곳은 인천(21.0%)이었다. 인천 택시 기본요금은 지난 3월 9일부터 3000원에서 3800원으로 올랐다. 두 번째로 상승률이 높은 지역은 서울(19.5%)이다. 서울도 2월부터 기본요금을 3000원에서 3800원으로 인상한 바 있다. 세 번째는 경기도(19.3%)다. 경기도는 5월부터 역시 기본요금을 3000원에서 3800원으로 인상했다.
수도권 세 지역의 택시 기본요금 인상 수준이 동일함에도 각 상승률이 다른 것은 택시료를 기본요금만으로 산출하지 않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지역별 기본요금, 실제 주행 거리만큼 매겨지는 지역별 주행요금을 통해 월별 택시료를 산출한다. 따라서 택시 기본요금이 동일하게 올라도 지역별 물가상승률이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조사 대상 전국 16개 시도 중 택시료 변동이 없는 곳은 부산이 유일했다. 부산은 2017년 9월 택시비를 2800원에서 3300원으로 올린 뒤 동결 중이다.
7월 전국 택시료 상승률. [사진=더밸류뉴스]
연초부터 전국적으로 택시비가 들썩이면서 전국 택시료 상승률은 1월 1.6%를 시작으로 2월 6.9%, 3월 8.6% 등으로 높아지다가, ▲5월 15.0%, ▲6월 15.2%, ▲7월 15.5% 등으로 가파르게 치솟았다.
7월 택시료가 5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이유는 제주와 충남이 비교적 늦게 택시비 인상 행렬에 동참했기 때문이다. 제주와 충남 아산은 기본요금을 지난달 각각 2800원에서 3300원으로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