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대표 기우성)이 지난해 연간 매출액 3조5573억원, 영업이익 4920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공시했다(K-IFRS 연결).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 63.45% 증가, 영업이익 24.48% 감소한 수치다.
기존 제품 안정적 성장과 신규 제품 매출 확대로 역대 최대 연매출 달성했지만, 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으로 수익성은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 최근 연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지난 4분기 매출액은 1조636억원(전년동기대비+178%)으로, 분기 기준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다. 영업이익도 1964억원을 기록하며 967.4% 급증했다.
바이오의약품 사업에서는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의 안정적 성장과 램시마SC(미국 상품명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등 신규 제품군 매출 확대로 연간 매출 3조1085억원(전년대비+57.7%)을 기록했다. 신규 제품 매출 비중도 전년 26.1%에서 38.4%로 증가하며 성장세를 견인했다.
유럽에서는 신규 제품 매출확대가 가속화되며 연 매출 1조5468억원을 기록, 북미에서도 인플렉트라의 안정적인 실적과 트룩시마, 유플라이마, 짐펜트라, 베그젤마 등 매출 성장세가 이어지며 연 매출 1조원을 넘어섰다.
램시마는 정맥주사(IV) 제형으로만 연매출 1조원을 넘어섰다. 아이큐비아(IQVIA,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램시마는 유럽 시장에서 62%의 점유율을 기록, 램시마SC까지 포함하면 영국 88.8%, 프랑스 80%, 스페인 75.8%, 독일 73.8% 등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이에 동사는 올해 매출 5조원을 목표로 △신규 포트폴리오 출시 △원가율 개선 △비용 효율화 등을 추진한다. 매출원가율 역시 개선된다. 2023년 4분기 63%였던 매출원가율을 지난해 45%로 낮췄으며, 올해는 20%대까지 개선될 전망이다.
바이오시밀러 제품군도 22개로 확대한다. 현재 오크레부스, 코센틱스, 키트루다, 다잘렉스 등 4개 바이오시밀러와 7개 미공개 파이프라인을 추가 개발해 오는 2030년까지 22개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계획이다.
또, 오는 2028년까지 총 13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한다. 동사는 최근 첫 번째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CT-P70’의 IND를 제출하며 신약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자회사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를 통해 의약품위탁개발생산(CDMO) 사업도 본격화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기업 및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의약품 개발·생산 전 과정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난해 합병법인 출범 첫 해로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시장 확대를 통한 외형 성장을 이뤘다”며 “올해는 신규 포트폴리오 확장과 원가 절감, 비용 효율화를 통해 질적·양적 성장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