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대표이사 박성수 이창재)이 정부가 추진하는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의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하며 AI 기반 연구개발 체계 강화에 나선다.
대웅제약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의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대웅제약의 용인 연구소 전경. [사진=대웅제약]이번 사업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국내 신약개발 전 주기 생태계 조성의 일환으로, 대웅제약은 ‘역이행 연구 설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AI SW)’ 개발 과제에 참여한다. 이번 과제는 삼성서울병원이 주관하며 강북삼성병원, 대웅제약 등 병원 및 제약기업이 함께하는 다기관 공동연구 체계로 운영된다.
핵심 과제는 전임상 및 임상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AI 모델 개발이다. 특히 ‘역이행 연구(reverse translational research)’ 기반 모델을 구축해 임상 단계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전임상 연구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신약개발 과정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웅제약은 향후 4년간 항암 및 대사질환 연구에서 확보한 비임상 데이터를 제공하며 모델 개발에 참여한다. 아울러 자사 신약센터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AI 소프트웨어를 실제 연구에 적용하는 실증 과정도 수행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이번 과제를 통해 △전임상 실험 설계 고도화 △비임상 데이터 기반 임상 예측 정확도 향상 △질환 영역 확장에 활용할 수 있는 범용 임상 AI 플랫폼 확보 등을 추진한다. 더불어 자체 개발 중인 연구과제에 AI 모델을 접목해 파이프라인 발굴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실제 모델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연구 현장에서 직접 AI 기술의 발전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대웅제약의 연구개발 역량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AI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 신약 개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