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대표이사 기우성)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최혜국 약가 제공 행정명령’과 관련해 자사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며, 유통 구조 개선·바이오시밀러 처방 확대·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을 주요 기회 요인으로 제시했다.
셀트리온은 지난 12일(현지 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처방약 최혜국 약가 제공 행정명령’에 대한 대응 전략을 공개하며, 바이오시밀러 기업으로서 세 가지 기회 요인을 기대한다고 13일 밝혔다.
셀트리온이 발표한 미국의 '최혜국 약가 제공 행정명령'에 대한 대응 전략 주요 내용 요약 도표 [자료=더밸류뉴스] 이번 행정명령은 미국 환자가 타국과 유사한 가격으로 약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약가를 인하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미국 보건사회복지부(HHS) 장관은 30일 내에 제약사에 최혜국 가격 기준을 전달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추진하게 된다.
셀트리온은 이 같은 조치가 고가 의약품 중심의 유통 구조를 바꾸고, 경쟁 기반의 바이오시밀러 확대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먼저, 셀트리온은 중간 유통 구조 단순화가 바이오시밀러 제조사에 직접적인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미국은 오리지널 제약사와 유통업체 간 리베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복잡한 유통 구조를 갖고 있는데, 이번 조치로 정부와 제약사 간 직접 약가 협상이 가능해질 경우, 바이오시밀러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둘째, 고가 의약품 약가 인하는 바이오시밀러 처방을 가속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현재 미국 내 보험사와 유통업체는 고가 오리지널 의약품 위주의 처방 구조를 갖고 있으며, 바이오시밀러는 후순위 등재되는 경우가 많다. 셀트리온은 “유럽 대비 바이오시밀러의 미국 내 시장 점유율이 낮은 것도 이러한 구조 때문”이라며, “유통 구조 개선 시 실질적인 약가 인하가 이뤄져 바이오시밀러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셀트리온은 병행수입 허용 확대를 통해 기존에 미국에 출시하지 않았던 제품의 시장 진입 기회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미국 내 직판망을 이미 보유하고 있어 유럽 제품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여지가 크다는 분석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행정명령은 바이오시밀러 제조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며, “당사는 미국 의료 정책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전략을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