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이사장 정은보)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 연구원과 함께 자본시장 질서 확립에 나선다.
한국거래소는 21일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정부와 유관기관이 공동으로 마련한 ‘IPO 제도개선 방안’과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다양한 시장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지속적인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전경. [사진=더밸류뉴스]
최근 한국 주식시장은 상장기업 수와 시가총액 등 양적 성장은 이뤄냈으나, 개별 기업의 가치와 성장성 측면에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정부와 유관기관은 'IPO 제도개선 방안'과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주요 개선안으로는 IPO 부문에서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확대, 수요예측 참여자격 합리화, 주관사 역할 강화가 제시됐으며, 상장폐지 부문에서는 요건 강화와 절차 효율화, 투자자보호 보완 등이 포함됐다.
한국거래소는 이들 제도개선안을 2025년 상반기까지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자본시장의 질적 성장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축사에서 “지난해부터 정부가 우리 자본시장의 밸류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구조의 밸류업에 대한 개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며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또 하나의 주요 과제로서 IPO와 상장폐지 제도의 개선방안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추진배경을 밝혔다.
김 금융위원장은 IPO 시장에 대해 “기업가치 기반 투자 중심으로 변화시켜 나가기 위해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을 확대하고, 주관사가 적정 공모가 산정과 중·장기 투자자 확보를 위해 노력하도록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언급하고, 상장폐지 제도의 경우 “시장 신뢰를 저해하는 기업이 원활히 퇴출될 수 있도록 요건을 강화하고 절차를 효율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보다 효율적이고 투자자 보호가 이루어지는 시장구조를 만들기 위해 ‘주식시장 체계 개편방향’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업이 각각의 성장단계와 특성에 맞춰 자본시장에서 원활히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시장간 차별화와 연계방안을 모색하겠다”며 “우리 시장의 특성과 해외사례를 심층분석하고 공론화 과정을 시작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