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이사장 정은보)가 한국물 지수 기반 파생상품의 해외거래소 상장을 단계적으로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한국거래소(이사장 정은보)는 30일 글로벌 투자자들의 한국 자본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한국물 파생상품 해외상장 추진 일정 [자료=한국거래소]
한국물 지수는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시장의 데이터를 활용·가공해 만든 지수로, 시가총액의 80% 이상을 한국거래소 상장 주식으로 구성했다.
한국거래소는 이를 위해 지난 26일 해외 주요 지수사업자인 MSCI, FTSE Russell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앞으로 추가 협의와 정식계약 체결을 거쳐 내년 6월 이후 관련 파생상품을 해외 파생상품거래소에 상장할 계획이다.
한국거래소는 한국물 지수 기반 파생상품의 해외거래소 상장이 국내시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1단계로 지난 26일 글로벌 지수사업자와 MOU 체결을 완료했으며, 2단계로 내년 3월까지 지수사업자와 정보이용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3단계는 내년 하반기를 목표로 한국물 지수 기반 파생상품의 해외거래소 상장을 추진한다. 마지막 4단계로는 오는 2026년까지 한국물 지수 기반 파생상품의 거래지역과 거래시간 확대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로 글로벌 투자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한국시장에 대한 위험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한국거래소는 이를 통해 그동안 제기됐던 한국시장의 폐쇄성 문제가 개선되고, 해외 지수사의 한국시장 평가와 국내증시 유동성 확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