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롯데GRS, 디지털 소외계층 위한 키오스크 도입...AI음성·점자스티커·물리 조작 키패드 적용

- 장애인 및 비장애인 등 모든 고객 편의 위한 키오스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

  • 기사등록 2024-08-20 14:44:34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이승윤 기자]

롯데GRS(대표이사 차우철)가 고령자,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해 기존 키오스크를 개선했다.

롯데GRS, 디지털 소외계층 위한 키오스크 도입...AI음성·점자스티커·물리 조작 키패드 적용롯데GRS가 디지털 소외계층의 편리한 키오스크 이용을 위해 개발 및 도입 예정인 ‘배려형 키오스크’. [사진=롯데GRS]

롯데GRS는 ‘배려형 키오스크’를 전국 롯데리아, 엔제리너스커피, 크리스피크림도넛 등 매장에 도입한다고 20일 밝혔다.


개선한 주문 프로그램은 이달 말 직영점에 우선 적용하고 다음달까지 전국 매장에 도입할 계획이다. 롯데GRS는 지난 13일 롯데GRS 79 SQUARE 사옥에서 시각장애인권리보장연대 등 단체 소속 장애인을 초청해 배려형 키오스크를 체험하는 시연회를 진행해 편의성 여부를 재확인했다.


‘배려형 키오스크’는 휠체어 이용 고객을 위해 기존 키오스크 대비 높이를 낮춘 1530mm로 구축했고 1200mm 높이 이하로 화면 배치가 가능한 ‘낮은 화면 모드’를 도입했다.


시각 장애인 이용을 위한 설비도 구축했다. 기존 스크린 터치만으로 조작하던 키오스크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배려형 키오스크 하부에 점자 스티커, 물리 조작 키패드, 직원호출 버튼 등 혼자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저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인공지능 기업 ‘셀바스AI’의 AI 음성 기술을 적용해 주문에서 결제까지 모든 텍스트를 음성 안내하며 5개 유형의 고대비 화면, 화면 확대 기능 등 주문 전 과정에 편리함을 더했다.


롯데GRS는 간편하고 편리한 주문 환경을 제공하고자 UI/UX 바탕의 시스템 개선을 진행했다. 먼저 주문 및 결제 과정을 단축했다. 취식 여부 선택, 메뉴 선택, 주문 확인, 결제까지 총 4단계의 과정으로 축소했고 기존 병렬형 메뉴 배치에서 세로형 배치로 변경해 가시성을 높였다.


키오스크 이용 고객의 집중 피로도를 줄이고자 전체 옵션 선택과 주요 결제 수단을 한 화면에 전면 배치했고 기존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어 총 4개 언어 서비스에서 태국어와 베트남어를 추가해 국내 최초로 총 6개 언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롯데GRS 관계자는 “롯데GRS의 배려형 키오스크 기계는 신규 및 리뉴얼 오픈 매장 중심으로 도입 예정이며 2026년 1월까지 전국 매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향후에도 매장 방문 고객 모두가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lsy@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8-20 14:44:3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삼성SDS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4차산업혁명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