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부동산 매매·전세·월세의 가격지수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수도권·지방간 양극화도 상승세다.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발표한 '7월 월간주택 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전세·월세 가격지수가 모두 상승세를 그렸다.
전국 가격지수 변동률 요약.[이미지=한국부동산원]
수도권 지역에서의 가파른 상승세가 이어지며 일부 지방의 하락폭을 상쇄하며 양극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는 추세다.
◆매매가격지수 0.15% ↑...서울 0.76% 상승하며 지방 하락세 상쇄
7월 매매가격지수 상승지역은 90개에서 97개로 증가했으며, 보합지역도 1개에서 5개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및 주요 변동지역. [이미지=한국부동산원]또 하락지역은 87개에서 76개로 감소하며 주택가격의 전체적인 흐름이 상승으로 돌아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세종지역은 -0.46%를 기록하며 감소세가 더해진 반면, 서울은 성동구 1.94%, 서초구 1.56%, 송파구 1.54%를 기록하며 심각한 양극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의 경우 상급지에 수요 쏠림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재건축 추진 단지에 대한 투자수요 집중 등으로 매도희망가격 상승 및 신고가 갱신사례가 증가했고 이것이 상승폭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전세가격지수 0.16%↑...6월 대비 상승폭 확대
6월 전세가격 지수는 0.16%를 기록하며 6월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시도별 전세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및 주요 변동지역. [이미지=한국부동산원]
또 7월 전세가격지수 상승지역은 6월 109개와 동일했고, 보합지역은 0개에서 1개로 증가했다. 하락지역은 69개에서 68개로 감소하며 가격 상승기조를 가졌다. 서울의 경우 꾸준한 임차수요로 매물부족현상이 지속되며,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거래가 발생하고 있다. 또 선호단지의 인근단지 및 구축으로 상승세가 확대되는 추세다. 인천과 경기의 경우, 서울 접근성이 양호한 역세권 및 주거여건이 우수한 선호단지 위주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 대구는 신규입주 물량의 영향으로 달서,북구 위주로 전세가격지수 -0,27%를 기록했고, 대전도 -0.2%를 기록했다.
◆월세통합가격지수 0.09%↑...6월과 같은 상승폭 유지
6월 월세통합가격지수는 0.09%를 기록하며 6월과 같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도별 월세통합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및 주요 변동지역. [이미지=한국부동산원]
서울의 경우 주거환경이 양호한 주요 단지 및 소형 규모 위주로 월세 수요가 증가하며 상승세를 기록했다. 인천은 정주여건이 양호한 선호단지 위주로, 경기는 교통환경 및 직주근접이 양호한 지역의 역세권 위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수도권 및 서울은 주택의 유형을 가리지 않고 월세 가격이 상승했지만, 지방은 단독주택을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하락하는 등 수도권 월세 가격 상승 우려가 현실이 됐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