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한국 조선사들이 전세계 선박 발주량의 86%를 수주해 중국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12일 영국의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달 전세계 선박 발주량 150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의 86% 수준인 129만CGT를 수주했다.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세계 최대 크기의 컨테이너선. [사진=삼성중공업]
한국의 지난달 선박 수주량은 전년비 324% 증가한 수준으로, 올해 월간 기준 수주량이 100만CGT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수주액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7% 늘어난 26억달러로 올해 월별 기준 최고 수주액을 기록했다.
아울러 올해 10월까지의 누적 수주량은 695만CGT(39%)로 611만CGT(35%)를 수주한 중국을 앞질렀다. 누계 수주액은 159억7000만달러로, 136억7000만달러를 기록한 중국을 제치고 3개월 연속 1위를 유지했다.
한국은 올해 1~10월 누적 기준 LNG(액화천연가스)운반선 발주량 35척 중 32척, VLCC(초대형유조선) 21척 중 13척, 초대형컨테이너선 26척 중 16척 등을 수주해,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선가 역시 국내 조선사들이 주력으로 수주하는 LNG선 등을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다.
국내 조선사들은 올해 하반기와 내년에도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 수주에 주력한다는 방침으로,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초 북극 LNG-2와 카타르,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등의 LNG 프로젝트 물량이 발주될 예정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한국은 글로벌 수주 경쟁에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며 "앞으로도 대형 LNG 프로젝트 시행 및 국제 환경규제 시행에 따른 친환경선 발주 등의 영향으로 한국 수주 실적이 더욱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한국 주력 선종인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이 많이 발주되면서 좋은 실적을 낼 수 있었다"며 "미·중 무역분쟁, 환경규제 등으로 인해 관망하던 선주들이 다시 발주에 나선 것으로 보여 올해 4분기 한국 조선업계가 좋은 실적으로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