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 민족이 독일계 딜리버리히어로에 인수되자 자영업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이미지=더밸류뉴스]
[더밸류뉴스= 이경서 기자] 국내 배달앱 시장 1위 ‘배달의 민족’이 2,3위 ‘요기요’와 ‘배달통’을 운영하는 독일기업 딜리버리히어로에 인수되자 자영업자들이 독점 횡포가 우려된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 3개 배달앱이 배달앱 시장 90%를 차지하고 있어, 각종 수수료 인상과 횡포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16일 논평을 통해 “1개 기업으로 배달앱 시장이 통일되는 것은 자영업 시장에 고통을 더하게 될 것”이라며 “650만 자영업자들은 배달앱 시장의 동점 장악을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배달앱은 분명 소비자들에게 각종 정보와 편의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사실상 유통과정이 한 단계 더 추가되면서 많은 자영업자들이 수수료와 광고료 부담에 고통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독일 자본에 90%이상의 배달앱 시장이 지배받는 기형적인 상황을 앞둔 자영업자들은 배달앱사들이 정하는 각종 수수료 인상과 배달앱사 횡포 현실화에 대한 공포가 있다”고 호소했다.
또 “수수료 인상에 따른 1차 피해자는 가맹점주들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것”이라고 전했다.
협의회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번 인수합병 심사뿐만 아니라 자영업 시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배달앱 시장의 합리적인 수수료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달앱 수수료 체계를 단순히 개별 기업의 이해가 아니라 사회적 합의에 따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협의회는 “공공형 배달앱 플랫폼을 구축하고 소상공인이 이에 직접 참여해 안정성이 보장되는 온라인·배달앱 시장 제도 보완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