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혼 여성 5명 중 1명은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육아가 여성들이 직장을 포기한 이유 1위로 올라섰다.
26일 통계청이 '2019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 현황’을 집계한 결과, 올해 4월 기준 15~54세 기혼 여성 중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 등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단녀'(경력 단절 여성)는 169만9000명이었다. 전체 기혼여성 884만4000명의 19.2%에 해당하는 규모다.
기혼여성 중 현재 일을 하고 있지 않은 비취업여성은 336만6000명으로, 절반가량이 경력 단절을 겪고 있는 셈이다.
직장을 관둔 이유로는 육아(38.2%)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이어 △결혼(30.7%), △임신·출산(22.6%), △가족 돌봄(4.4%), △자녀교육(4.1%) 등 순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육아로 인한 경단녀는 4.8%(3만명) 증가했다. 반면 결혼(-17.7%, -11만2000명), 임신·출산(-13.6%, -6만명), 가족 돌봄(-4.7%, -4000명), 자녀교육(-2.7%, -2000명)으로 인한 경단녀는 줄어들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출산휴가가 확대됐지만 육아는 단기간에 끝나지 않기에 일과 가정 병행에 어려움을 겪은 이들이 상대적으로 늘어났다”며 “경력 단절 사유로 육아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올해 상반기가 처음”이라고 밝혔다.
2019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부가항목) 경력단절여성 현황. [사진=통계청]
연령별로는 30대 여성의 경력단절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30대(30~39세) 기혼여성(260만1000명) 중 경력단절여성 수는 80만6000명(31.0%)에 달했다. 이는 전체 경력단절여성의 47.4%로 절반에 가까운 규모다. 이어 △40대 경단녀가 63만4000명(37.3%), △50대 14만2000명(8.3%), △15~29세 11만8000명(6.9%) 순이었다.
경력단절기간은 5~10년 미만(24.6%)이 가장 많았고, △10~20년 미만(23.7%), △3~5년 미만(15.6%), △1~3년 미만(15.6%), △1년 미만(12.0%), △20년 이상(8.4%) 순이었다.
경력단절은 자녀 수 및 연령과 관련도가 높았다.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경우 27.9%가 경력단절여성인 반면 자녀가 없는 여성의 경우엔 경력단절 비중이 8.1%였다. 또 경력단절 비율은 18세 미만 자녀가 1명인 경우 25.3%, 2명인 경우 29.6%, 3명인 경우 33.7%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