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2.4~2.5%로 하향했다. 최근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 되는 등의 대외 여건 악화의 영향 때문이다.
3일 기획재정부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열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며 기존 추정치인 2.6~2.7%에서 0.2%포인트 하향했다고 밝혔다.
1일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사전 브리핑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이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한국개발연구원(KDI)의 2.4%와 비슷한 수치이며 다수의 투자은행(IB)들은 2%대 초반으로 추정했다.
취업자 증감은 기존 15만명에서 20만명으로 높였고, 경상수지 흑자는 연간 640억달러에서 605억달러로 낮췄다. 고용률 목표는 66.8%를 유지, 소비자물가는 1.6%에서 0.9%로 조정했다.
정부의 성장율 전망이 수정된 이유로는 반도체 부진, 대내외 상황의 불안정 등의 영향 때문이다.
올해 들어 성장, 교역 전망을 큰 폭으로 하향하며 글로벌 산업생산 및 제조업 경기가 감소했다. 1분기 성장률은 -0.4%로 역성장 쇼크, 수출은 7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또 최근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중 무역분쟁이 일단락 되는 듯 했으나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이다. 이후 무역갈등이 확대될 경우 글로벌 경제 회복은 부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우리 수출의 전체 20%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경기도 하반기 반등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중국 경기둔화와 글로벌 서버투자 지연에 따라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방기선 기재부 차관보는 “생각보다 대외여건이 크게 악화돼 수출과 투자 부진이 심화됐다”며 “추경과 각종 세제지원, 투자프로젝트를 포함한 목표이며 2차 추경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