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대표이사 민영학)이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상용화하며 물류센터 자동화 수준을 개선했다.
팔레타이저가 인천 중구 인천GDC에서 박스를 파렛트에 쌓는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은 인천 중구 인천GDC에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인천GDC는 아시아태평양 8개국 소비자의 주문을 처리하는 글로벌 허브 물류센터로, 주문에 맞춰 상품을 포장한 뒤 각국으로 향하는 항공편에 싣는다. 이를 위해 포장이 완료된 박스를 크기와 도착지별로 나눠 파렛트(상품적재용 깔판)에 적재하는 ‘팔레타이징’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반복 동작이 많고 허리를 굽히는 자세가 잦아 신체적 부담이 크다.
CJ대한통운이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도입하며 작업자들의 피로도가 낮아지고 생산성도 향상됐다. 로봇은 AI비전으로 박스 크기를 실시간 인식해 각기 다른 도착지로 가는 여러 크기의 박스들을 자동으로 분류, 적재할 수 있다. 기존 고정형 팔레타이저와 달리 앞뒤로 이동하는 구조라서 최대 4개의 파렛트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다. 그 결과 여러 도착지로 향하는 물량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이동형 설계도 강점이다. 바닥 고정장치 없이 설비를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어 설치와 이동의 유연성을 개선했다. 현재 인천GDC에서 1대의 장비가 2개 도시로 가는 출고 작업을 동시에 수행 중이다.
CJ대한통운은 이번 장비에 자체 특허를 보유한 ‘로터리 구조 자동 버퍼 시스템’을 적용했다. 컨베이어 벨트에서 오는 박스의 크기와 적재 가능 여부를 AI가 판단해 적합하지 않은 박스를 버퍼 공간에 임시로 뒀다가 가장 효율적인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적재한다. 박스의 투입 순서를 최적화할 수 있어 파렛트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적재율을 극대화했다.
CJ대한통운은 앞으로도 단순 반복적인 물류 작업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개발해 작업자의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물류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