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타(대표이사 채명수)가 AI 최적화 기술로 코스닥 기술평가에서 ‘A, A’ 등급을 획득하며 상용화와 기술력을 공식 인정받았다.
노타 로고 [이미지=노타]
노타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평가에서 NICE평가정보, 한국기술신용평가로부터 각각 ‘A, A’ 등급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AI 최적화 기술로는 최초이다. 이번 평가를 바탕으로 주관사인 미래에샛증권과 내년 상반기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상장 절차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노타는 독자 개발한 AI 모델 최적화 플랫폼 ‘넷츠프레소(NetsPresso®)’와 온디바이스 AI 솔루션을 통해 기술력을 고도화해왔다. 넷츠프레소는 자원이 제한된 디바이스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복잡한 AI 모델 최적화와 배포 과정을 단순화한다.
노타는 넷츠프레소를 통해 엔비디아(NVIDIA), 암(Arm), 퀄컴(Qualcomm), 소니(Sony), 삼성전자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의 협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최신 생성형 AI 기술인 비전 언어 모델(VLM)을 온디바이스 환경에 접목하여 교통, 제조, 헬스케어,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산업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노타의 올해 매출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성장했고, 지난 6월 약 290억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를 유치하며 재무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채명수 노타 대표는 “이번 기술평가는 기술력과 상용화 가능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중요한 성과”라며 “IPO를 기반으로 국내외 AI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