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플러스(대표이사 전웅)가 활용도가 낮은 탄산리튬을 순도 99.99%의 배터리급 수산화리튬으로 정제하기 위해 조달청으로부터 탄산리튬을 대여받는다.
리튬플러스는 조달청이 탄산리튬 대여를 승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로써 리튬플러스는 조달청이 수급 장애를 대비해 비축하고 있는 탄산리튬 290t(톤)을 받게 됐다.
리튬플러스 CI. [이미지=리튬플러스]
리튬플러스는 정제한 수산화리튬을 국내 3대 배터리사 중 한 곳에 판매할 예정이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고순도 수산화리튬의 국내 생산이 최초로 이뤄질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조달청은 리튬, 망간, 바나듐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필수적 희소금속 9종을 비축하고 있다. 이번에 대여하는 탄산리튬도 국가적 수급 장애에 대비해 핵심 원자재로 비축해온 물량이다. 배터리업계의 요구기준 상향과 국내 정제 생산시설 및 기술 미비로 현재까지 활용하지 못했다.
리튬플러스는 생산시설, 기술력, 자금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받은 후 탄산리튬 대여를 승인받았다. 대여기간 연장도 가능해 제1공장의 초기 생산을 위한 원재료도 모두 확보했다.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꼽히는 수산화리튬의 가격은 전기차시장 급성장에 따른 수요 급증과 공급 부족으로 지속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다. 만성적 공급 부족과 고수익성을 이유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리튬 정제사업에 대해 ‘돈 찍어내는 면허’라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