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픈뱅킹(Open Banking)’이 시범 서비스 가동을 마치고 전면 시행에 들어갔다.
오픈뱅킹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만으로 고객이 가진 모든 은행의 계좌를 조회하고 자금 출금·이체까지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날 오전 금융위원회와 금융결제원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오픈뱅킹 서비스 출범 행사를 열었다.
지난 10월 30일 은행권 중심으로 시범운영 됐다. 지난 10월 30일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10개 은행을 포함해 모두 16개 은행과 핀테크 기업 31곳이 오픈뱅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픈뱅킹이 핀테크 기업으로 확대돼 전면 시행되는 것이다.
오픈뱅킹 시범실시 이후 50일만에 315만명이 가입해 773만 계좌를 등록하고 8392만건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범실시 첫날 51만명이 가입했는데 이후 일평균 주중 8만명, 주말 3만명이 가입해 1인당 평균 2.5개의 계좌를 등록했다.
오픈뱅킹 구조. [사진=금융위원회]
현재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카카오페이 등이 참여한 핀테크 기업의 경우 보안 점검 등을 끝낸 기업들의 순차적 참여가 이뤄진다. 씨티은행(2020년 1월 7일)과 카카오뱅크(2020년 상반기)는 내년에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은행들은 오픈뱅킹 전면 시행에 맞춰 자산관리 서비스와 우대금리 상품 등 오픈뱅킹 연계상품도제공할 예정이다. 핀테크 기업의 경우 수수료 부담 비용이 기존 금융 결제망 이용 수수료의 10분의 1 수준으로 낮아진다.
금융당국은 현재 참가 금융회사를 상호금융, 저축은행, 우체국 등 제2 금융권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사고 시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은행 통합 일간 출금이체 한도는 1000만원으로 정해졌다. 이날 출범 행사에서는 은행과 핀테크 업체 각각 5곳이 부스를 설치하고 서비스 시연 등을 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금융의 미래모습은 모든 금융권이 개방형 혁신에 참여하는 오픈 파이낸스가 될 것"이라며 "저비용, 고효율의 인프라가 구축되는 만큼 단순한 고객 늘리기보다는 금융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경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