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겨울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8~15기의 석탄발전기 가동을 중단한다. 올 겨울 전력수요가 8860만㎾, 혹한 시 9180만㎾로 역대 최대 수준일 것으로 예측된 데 따른 것이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9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겨울철 전력수급 및 석탄발전 감축 대책'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일 정부는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 대응 특별대책'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수급 유지를 전제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석탄발전 가동을 줄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산업부는 노후석탄발전 2기를 정지하고 예방정비를 최대 일별 1~5기, 추가정지 5~8기를 포함해 석탄발전기 8∼15기를 가동 정지할 예정이다. 나머지 석탄발전기는 잔여 예비력 범위 내에서 최대한 상한제약(화력발전 출력을 80%로 제한하는 조치)을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사람들의 야외활동이 많은 주말에는 운영 중인 모든 석탄 발전기에 대해서 상한제약을 시행한다.
산업부는 이 같은 계획을 추진할 경우 3개월 간 석탄발전기 9∼16기, 주말의 경우 20∼25기를 실질적으로 가동 정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미세먼지 배출량을 지난해 총배출량의 44% 수준인 2352t 줄이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석탄화력발전소. [사진=문터스]
에너지 수요 관리도 예년보다 한층 강화한다.
전력피크가 예상되는 기간(1월 넷째주)에는 전국 광역지자체의 주요 상권을 대상으로 '문 열고 난방 영업' 단속과 불필요한 조명 사용에 대한 소등 권고 등의 조치를 추진하고, 다음 달 5일에는 시민단체와 함께하는 대국민 홍보 절전 캠페인을 벌인다.
주요 송배전 설비 및 발전기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시행하는 등 전력 설비의 안전 점검·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이번 겨울부터 한부모 및 소년소녀가정 5만4000가구에 에너지 바우처를 신규로 지원하는 등 취약계층 보호에도 나설 방침이다. 겨울철 전기·가스·열 요금 할인은 시행하되 요금 체납 시 공급 중단은 유예하기로 했다.
정부는 "올해 겨울철 국민이 안심하고 전기를 사용하실 수 있도록 안정적인 전력수급 관리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