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孫正義, 손 마사요시)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이 유동성 한계에 마주한 세계 최대 사무실 공유업체 위워크의 경영권을 확보했다.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위워크(WeWork) 빌딩. [사진=더밸류뉴스]
지난 22일(현지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이날 위워크 이사회는 소프트뱅크의 긴급자금 투입과 이를 통한 지배지분(경영권) 확보 등의 안건을 통과시켰다.
소프트뱅크는 뉴먼 위워크 전 CEO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10억달러에 매입하고, 자문료로 향후 4년간 1억8500만달러를 지급할 계획이다. 또 기존 JP모건으로부터 대여한 5억달러의 신용공여도 지급하는 등 총 17억달러를 투자한다.
이번 합의로 위워크 공동창업자인 뉴먼 전 CEO는 10억원 가량의 지분을 현금화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뉴먼 전 CEO는 위워크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날 것으로 보인다.
WSJ은 “뉴먼 전 CEO가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이사회 '옵서버' 자격을 보유하고, 지분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매각 과정에서 위워크의 기업가치는 80억달러 이하로 평가됐다. 수익성 악화 등으로 수개월 전 기업공개(IPO) 준비 시 평가됐던 470억달러 대비 6분의 1 수준으로 급락한 것이다.
위워크는 올해 상반기 말 기준 현금보유고는 9억달러(약 1조원) 줄어 이르면 내달 중순께 현금보유고가 바닥날 것이라고 업계에서는 우려하고 있다.
지난 6월말 기준 위워크의 장기 부채총계는 220억달러(약 26조원)로 이 중 179억달러가 부동산 장기임차 건이다. 위워크는 유동성 위기를 막기 위해 비싼 임대료를 내고 있는 임대차 계약을 해지하거나 재협상을 통해 임대료를 낮추는 협상을 진행 중이나 협상 진행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손정의(孫正義,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회장. [사진=네이버]
이번 매각이 완료되면 소프트뱅크의 위워크 보유 지분율은 70% 이상으로 소프트뱅크가 위워크의 경영권을 확보하게 된다. 소프트뱅크는 이미 110억달러(약 13조원)를 투자해 위워크의 지분 3분의 1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위워크 경영에는 마르셀로 클라우레 소프트뱅크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직접 관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