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손상 및 사망 사례가 대두된 액상형 전자담배에 대해 정부가 사용 중단을 권고하자 업계는 당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정부합동으로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중단을 강력히 권고하고 현재 담배사업법에 포함되지 않는 담배 줄기, 뿌리, 합성니코틴 등으로 만든 전자담배를 담배사업법으로 규제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하는 내용의 대책을 23일 발표했다.
최근 미국에서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으로 인한 중증 폐손상 사례가 1479건, 사망사례는 33건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된데 이어 국내에서도 폐손상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이에 정부는 민관 합동 조사팀을 구성해 추가 의심사례 확보 및 연관성 규명을 진행하는 한편, 국가통계자료와 건강보험자료를 분석해 폐손상과의 연관성을 검토할 방침이다.
국내 시판 중인 액상형 전자담배는 미국 브랜드 쥴랩스의 ‘쥴(JUUL)’, KT&G의 ‘릴 베이퍼(lil vapor)’가 대표적이다. 미국 전자담배 시장 1위에 올라 있는 쥴을 운영하는 쥴랩스는 국내에서 판매 중인 제품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액상형 전자담배 쥴(JUUL). [사진=쥴랩스]
쥴랩스 관계자는 “쥴 제품에는 미국 질병예방센터(CDC)가 발표한 폐질환의 주 원인 물질인 THC(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와 비타민 E 아세테이트가 포함돼 있지 않다”며 “정부가 유해성 검사를 신속하게 시행하겠다고 한 만큼 최대한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KT&G는 말을 아끼는 분위기다. KT&G 관계자는 “현재 구체적으로 드릴 말씀이 없다”며 “정부 조사 결과에 따라 정책 방향이 결정되면 이에 성실히 따르겠다”고 언급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로 액상형 전자담배의 반짝 인기가 시들고 궐련형 전자담배나 전통적인 궐련 담배로 소비자의 선호도가 돌아설 수 있다고 관측했다. 업계 관계자는 “궐련형 전자담배에 반사 이익을 가져다줄지, 혹은 전자담배 전체에 대한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지 추이를 주시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액상형 전자담배와의 인과관계가 명확히 규명되기 전까지는 액상형 전자담배의 사용을 중단할 것으로 강력히 권고한다"며 “담배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법률안이 개정되기 전까지 사용중단 강력 권고를 비롯한 관계부처가 할 수 있는 조치를 모두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