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주춤하는 가운데 국내 배터리 3사는 사용량이 증가해 점유율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8월 사용량. [사진=SNE리서치]
16일 에너지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8월 세계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이 전년동기대비 10% 감소했으나 국내 업체인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은 모두 사용량이 증가했다.
LG화학은 79.9%, 삼성SDI는 10%, SK이노베이션은 8.1% 사용량이 늘어 각각 시장점유율 12.6%, 4.4%, 1.8%를 기록했다. 8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3, 6, 9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LG화학의 전기차 배터리. [사진=LG화학]
3사를 합친 한국 업체의 시장점유율은 1년전 11.4%보다 7.4%포인트 오른 18.8%였다.
이번 통계에서 주목할 점은 1위 업체인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컨템퍼러리 암페렉스 테크놀로지)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국 업체들이 자국 시장 침체에 따라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는 것이다.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한 중국 업체는 비야디(BYD)로, 성장률이 61.1% 감소하며 전체 시장 침체를 주도했다. AESC도 사용량이 소폭 줄었다. 이 외에 궈쉬안(Guoxuan)과 그레이트파워(Great Power)도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CATL은 BAIC, EU5, EX3 등 자사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 승용차 신모델 판매량이 늘면서 주요 중국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배터리 사용량이 50% 가까이 증가했다.
비중국계 업체 중에서는 2위인 일본 업체 파나소닉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미국에서 테슬라 물량 공급이 줄어들면서 사용량이 22.5% 급감했다.
SNE리서치는 “보조금 축소 및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중국시장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향후 전세계 성장 추이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며 “앞으로 시장 동향을 면밀히 살펴보면서 시의 적절하게 활로를 개척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