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코(KIKO) 사태에 대한 분쟁조정 절차가 이르면 이달 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금감원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이 키코 분쟁조정위원회를 이달 안에 열어달라고 하자 “곧 처리하려 한다. (이달 안에 처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사진=더밸류뉴스]
윤 원장은 “키코 분쟁과 관련해 (분쟁에 연루된) 6개 은행과 조정 과정을 거치고 있다”며 “완벽하게 조정을 하지는 못했지만 현재 많은 성과가 있는 상태로 의견이 어느 정도 근접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동안 4개 기업 분조신청을 받아서, 얼마전 조사가 끝났고 그 내용을 가지고 은행들과 조정 과정을 거치고 있다"며 "(배상을) 권고하고 나서 (금융사가) 수락하지 않으면 더 이상 강제권이 없기 때문에 사전에 거리를 좁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키코는 환율이 일정 범위에서 변동하면 약정한 환율에 외화를 팔 수 있지만, 이 범위를 벗어나면 큰 손실을 보는 구조의 파생상품이다. 수출기업들이 주로 환 위험 회피 목적으로 가입했다가 2008년 금융위기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해 기업 732곳이 약 3조3000억원의 손실을 봤다.
이날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은 최근 대규모 원금 손실로 물의를 빚은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를 두고 "키코 문제 해결에만 집중하다가 DLF 사태를 모르고 지나간 것 아니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윤 원장은 “키코에 대한 처리를 적절히 하지 못하고 넘어간 게 이번 DLF 사태의 원인을 가져왔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