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7년까지 1인가구가 연평균 9만1000가구씩 늘어나 2017년보다 8.8%포인트 증가할 전망이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특별추계(2017~2047년)’에 따르면 국내 총가구 수는 2017년 1957만1000가구에서 2040년 2265만1000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2041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2047년에는 2230만3000가구까지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평균 가구원수는 2017년 2.48명에서 점차 감소하여 2047년 2.03명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고령화로 인해 1인 가구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2017~2047년 주요 가구유형별 구성비. [사진=통계청]
2017년 가구유형은 △부부+자녀가구(31.4%), △1인가구(28.5%), △부부가구(15.8%) 순이었으나, 2047년에는 1인가구가 전체 가구유형의 37.3%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가구유형이 될 것이라고 통계청은 판단했다. 부부가구가 21.5%로 그 뒤를 잇고 2017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던 부부+자녀가구는 저출산의 영향으로 2047년 16.3%까지 떨어질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수가 증가하는 가장 큰 원인은 고령화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다. 가구주 연령을 살펴보면 2017년 1인가구 중 30대이하의 비중이 35.6%(198만8000가구)로 가장 높으나, 2047년에는 70대이상이 40.5%(337만2000가구)로 역전한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내년 베이비부머 세대가 65세로 진입하면서 고령 가구가 많이 늘어나고, 황혼 이혼의 증가로 30년 후에는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가 2017년보다 2.8배 많아진다”고 설명했다.
1인 가구가 증가하는 또 다른 원인으로 비혼과 만혼이 늘어나는 것이 있다. 2017년 가구주의 혼인상태를 보면 가구주의 62.4%(1221만4000가구)가 배우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인 경우는 16.9%(331만2000가구)이다. 2047년까지 배우자가 있는 가구주는 14.6%포인트 감소하고 미혼 가구주는 9.1%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