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무역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미국과 세계의 국내총생산(GDP)이 내년 초까지 1%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준이 불확실성의 경제적 손실을 계량화한 것은 처음이다.
여의도 증권가. [사진=더밸류뉴스]
지난 5일(현지시각) 미국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의 GDP가 약 20조달러, 세계의 GDP가 약 85조달러 규모라는 것을 고려했을 때, 줄어드는 GDP는 각각 2000억달러(239조7000억원)와 8500달러(1018조7000억원)에 달한다.
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급격히 고조된 시기가 지난해부터 올해 1분기까지, 올해 2분기 등 두 시기로 구분된다고 지적했다. 이 사이 트럼프 정부는 중국을 비롯해 멕시코, 캐나다, 유럽연합(EU) 등을 상대로 호전적인 무역정책을 펼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초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같은 해 5월에는 중국, 멕시코, 캐나다, EU를 상대로 고율관세를 위협해왔다. 이어 올해 5월에는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무역 불확실성이 처음 증가했을 때 미국과 세계 GDP가 올해 상반기까지 0.8% 감소했다. 그러나 “올해 5월과 6월에 무역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지 않았다면 감소한 GDP는 향후 완화하기 시작했겠지만, 올해 5월부터 재개된 불확실성으로 인해 하반기와 내년까지 GDP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무역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추산하기 위해 신문 기사와 올해 1분기까지 4분기 동안 미국 기업 1500여곳의 실적 발표를 분석했다. 불확실성과 관련된 ‘리스크’, ‘위험’, ‘불확실성’, ‘관세’, ‘수입세’ 등의 단어의 언급이 많아졌을 때 경제 지표의 동향을 살펴서 무역 불확실성이 미국 GDP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했다.
연구진은 연구 결과에 오차가 있을 수 있지만 높은 무역 불확실성이 GDP와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