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 본부장은 “일본의 수출 규제가 미국기업과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핵심 소재 수출 규제가 시작되고 나서) D램 메모리 반도체 가격의 경우 일본의 규제 조치 이후 23% 인상됐다”고 강조했다.
4일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이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일본 측에 수출통제 강화조치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23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 유본부장은 일본의 수출 규제 등 경제보복과 관련하여 “미국 측에 경제통상 분야에서 우리 기업뿐만 아니라 미국 기업, 글로벌 경제공급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적극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0~14일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에 이어 이날 미국을 찾은 유 본부장은 오는 27일까지 머물며 중재를 위한 대미(對美) 설득전에 나선다.
특히 이번 방미는 일본과 한국 방문길에 나선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중재를 시도할 수 있는 관측이 나오고, 세계무역기구(WTO) 일반이사회에서도 이 문제를 논의하는 시점에 이뤄진 것이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2주전 김현종 2차장의 방미 활동과 비교해 “그때와 차이점은 2주간 반도체 가격이, D램 가격이 23% 인상된 것”이라며 “일본의 조치가 반도체를 쓰는 모든 제품에까지 연결될 수 있는, 세계경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경제통상 분야에서의 구체적 자료와 사례를 통해서 관련된 인사들에게 설명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기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D램이 2주간 23% 정도 인상된 데서 잘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부정적 효과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이 문제에 대해 조금 더 엄중한 인식을 갖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주요국이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적극 설명하려고 한다”고 재차 말했다.
미국 측 누구와 접촉할 것이냐는 물음엔 “일정은 계속 조율 중이어서 확정적으로 말씀드리기는 그렇고 결과를 모두 마치고 돌아갈 때 밝히겠다”고 확답을 피했다. 기업인과의 만남 가능성에 대해선 “경제통상 분야의 다양한 인사들을 만날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누구를 만났는지는 면담이 다 끝나고 나서 결과로 말씀드릴 것”이라고 언급을 삼갔다.
이번 방미 기간에 한국산 자동차 관세 문제도 언급할 계획인지에 대해서는 "일단 한·미 통상 관계 전반을 다루는 자리가 있다면 그런 문제도 나올 수 있겠지만,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쪽 분야에 관련된 관심을 가진 분들을 만날 때는 그 분야에 집중할 수도 있겠다"며 "면담 상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