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이 1174조원 늘어나고, 가구당 평균 순자산도 4억1596만원으로 1년 전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토지를 비롯한 자산 대부분이 부동산에 묶여 있는 등 ‘부동산 쏠림’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국가 전체의 부라고 할 수 있는 국민순자산은 지난해 말 1경5511조7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174조4000억원(8.2%) 증가했다. 이는 국재총생산(GDP) 대비 8.2배로 1년 전(7.8배)보다 상승했다.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 [사진=더밸류뉴스]
한국은행과 통계청은 "GDP 대비 국민순자산 비율이 상승한 것은 지난해 순대외금융자산이 늘어난 데다 토지를 중심으로 비생산 자산 가치가 오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순대외금융자산은 우리가 해외로부터 받을 수 있는 돈이다. 해외투자는 확대되고 국내 주가하락 영향으로 대외금융부채가 줄면서 순대외금융자산이 늘었다.
부동산 가격 상승도 원인이다. 한은은 "지난해 토지와 건물, 지식재산생산물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과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비금융자산에서 토지와 건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54.6%, 21.4%로 1년 사이 0.3%p씩 높아졌다. 토지와 건물의 가치가 올랐기 때문이다. 1년 사이 토지는 7.6%, 건물은 8.2%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계 자산을 가늠할 수 있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8726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국민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57.7%에서 지난해 56.3%로 소폭 줄었다.
[자료=한국은행]
가구당 순자산은 1년 전보다 1664만원 늘어난 4억1596만원으로 추정됐다. 다만 가계 자산 대부분은 부동산에 쏠려 있었다. 가계 자산에서 주택과 주택 외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7.8%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호주(73.7%), ▲프랑스(66.3%), ▲영국(55.0%), ▲캐나다(53.6%), ▲일본(42.0%) 등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으로 높았다.
아울러 가구당 순자산을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으로 환산하면 48만3000달러로, ▲미국(72만3000달러), ▲호주(71만8000달러), ▲일본(52만4000달러) 등 주요국의 2017년도 기준 가구 순자산에 비하면 낮았다. 정부 관계자는 "가구당 순자산이 늘어나긴 했지만 아직은 미국과 호주, 캐나다 등 선진국에 비해 가계 축적 수준은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