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권사의 올해 1분기(1~3월) 당기순이익이 지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IB(투자은행) 등 수익 다각화 및 금리 하락·주가 지수 상승으로 채권·주식 등 보유자산에 대한 운용수익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17일 금융감독원은 '2019년 1분기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을 공시했다. 국내 증권사 56곳의 당기순이익은 1조460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83.8%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07년 1·4분기 1조2907억원 이후 분기 당기순이익 기준 최대 실적이다.
증권회사 주요 항목별 손익. [사진=금융감독원]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 중 수수료수익은 2조2422억원으로 전분기비 0.7% 증가했다. 수수료수익 중 IB부문 34.0%, 자산관리부문 11.4%, 수탁수수료 39.7%였다.
또 1분기 자기매매이익은 7288억원으로 전분기비 5110억원 감소했다. 이 중 주식 관련 이익은 2608억원으로 주가지수 상승 덕에 전분기비 4474억원 증가했다. 채권 관련 이익은 2조604억원으로 전분기비 1386억원 올랐다. 이는 금리 하락 추세에 따라 채권평가이익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주가연계증권(ELS) 등 매도파생결합증권에 대한 평가손실이 증가하며 파생 관련 손실이 1조5925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기타 자산 손익은 1조 4784억원으로 전분기비 1조6758억원 늘었다. 이 중 펀드 관련 이익과 판매관리비는 각각 7015억원, 2조2090억원으로 전분기비 1조4384억원, 1594억원 증가했다.
서울 여의도 금융가. [사진=더밸류뉴스]
1분기 말 전체 증권사의 자산총액은 472조2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438조9000억원 대비 33조3000억원 증가했다. 채권이 8조4000억원 증가 등의 영향이다. 부채총액은 415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382조3000억원 대비 33조원 늘었고, 총 자기자본은 56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56조6000억원 대비 3000억원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1분기 중 주식거래대금 감소 추세로 위탁매매 수수료수익은 전 분기 수준에 그쳤으나, IB·자산관리부문 등의 비중이 증가해 수익이 다각화되고, 금리 하락 추세 및 주가지수 상승에 따라 채권·주식 등 보유자산에 대한 운용수익이 개선돼 증권사의 당기순이익 규모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