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대표이사 김창한)이 29일 기업설명회(IR)를 열고 1분기 잠정 매출액 8742억원, 영업이익 4573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K-IFRS 연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3%, 47.3% 증가했다.
크래프톤 최근 분기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
크래프톤 관계자는 “1분기 역대 최대 경영실적은 PUBG IP의 프랜차이즈 확장과 ‘Big 프랜차이즈 IP’ 확보 전략을 통해 이룬 성과”라며 “배틀그라운드 무료화 이후, 3월 최대 동시접속자가 총 140만 명을 넘어섰고, 신작 인조이는 초반 흥행 성과로 가치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플랫폼별 매출 구성을 보면 △PC 3,235억원 △모바일 5,324억원 △콘솔/기타 183억원으로 모바일 부문이 주도적 성장을 견인했다. 특히 3월 배틀그라운드 최대 동시접속자 140만 명을 돌파한 점과 신작 '인조이'의 글로벌 흥행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인조이'는 출시 일주일 만에 100만 장을 판매, 해외 판매 비중이 95%에 달했다.
성장의 핵심 동력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PUBG IP의 성공적인 프랜차이즈 확장이다. 배틀그라운드 무료화 이후 3월 최대 동시접속자가 140만 명을 넘어섰다. 둘째, 신작 '인조이'의 글로벌 흥행이다. 출시 일주일 만에 100만 장을 판매했으며, 판매량의 95%가 해외에서 발생했다. 셋째, 현지화 마케팅 전략이다. 특히 인도 시장에서 BGMI를 통해 현지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했다.
크래프톤은 향후 전략으로 △프로젝트 블랙버짓 △프로젝트 발러 △PUBG: 블라인드스팟 등 다양한 장르의 신작 개발을 예고했다.
앞으로 크래프톤은 CPC(Co-Playable Character)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조이(Smart Zoi) 등 AI 기술 고도화로 새로운 게임성을 시장에 선보이고, 글로벌에서 장기 서비스가 가능한 Big 프랜차이즈 IP로 육성할 계획이다.
크래프톤은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강화해 유저 기반을 확대, 신작 신작 퍼블리싱과 신사업 기회 모색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며 ‘제 2의 BGMI’ 발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