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윤승재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23일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6·27, 9·7, 10·15 대책에도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여전한 상황에서 금리를 낮춰 '부동산 리스크'를 키울 이유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1,430원대를 넘나드는 원∙ 달러 환율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2.50%... 3연속 동결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자료=한국은행]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하반기 7·8월에 이어 이번까지 3차례 연속이다. 부동산 시장이 불안한 것이 가장 큰 배경으로 꼽힌다. 수도권 지역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6억원으로 일괄 축소하는 등의 6·27 대책에도 불구, 10월 둘째 주(한국부동산원 통계·10월 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2주 전(연휴 전)보다 0.54% 더 올라 상승 폭이 오히려 더 커졌다.


이에 정부는 서울 전역과 수도권 주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15억원이 넘는 집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2억∼4억원으로 더 줄이는 10·15 대책을 발표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지난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한은 입장에서는 유동성을 더 늘려 부동산 시장에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밝혔다. 더 강한 부동산 규제가 나온 지 불과 1주일 만에 한은이 금리를 낮춰 주택담보대출을 부추길 경우 '정책 엇박자' 논란이 불가피하다. 


원∙달러 환율 흐름도 금리 동결의 주요 근거가 됐다. 지난 1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주간(낮)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1,431.0원으로, 4월 29일(1,437.3원) 이후 5개월 반 만에 처음 주간 종가 기준으로 1,430원대에 다시 올라섰다. 이후로도 뚜렷하게 떨어지지 않고 1,420∼1,430원대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집값·환율 불안이 진정되지 않는다면 한은이 다음 달에도 기준금리를 낮추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eric9782@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10-23 21:22: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그 기업 궁금해? 우리가 털었어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산업더보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