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1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내린 3.25%로 인하했다. 이는 지난 2021년 8월부터 시작된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 이후 3년 2개월 만에 이뤄진 통화정책 기조 전환이다. 금통위는 내수 부진과 물가 안정 흐름을 반영해 금리 인하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자료=한국은헹]
내수 부진과 물가 안정이 금리 인하 주요 결정 배경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6%로 안정세를 보이며 한국 경제가 안정 국면에 진입한 모습이다. 또 장기화된 내수 부진과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세가 둔화된 점도 금리 인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시장에서는 이미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점쳐왔다. 최근 채권 시장 전문가 10명 중 7명이 금리 인하를 예측했으며, 금통위의 결정이 시장의 예상과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금리 인하로 인해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1.7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국은 3.25%, 미국은 4.75~5.0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격차 변동은 외국인 자본의 유출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원화 가치 하락(환율 상승)의 효과도 발생해 수입 물가가 올라 국내 물가에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외화 표시 채무가 있는 기업들은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추가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신영증권 조 연구원은 “한은이 연내 추가 인하보다는 금융 안정 데이터 검토를 통해 내년 초에 두 번째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금통위는 올해 남은 두 차례의 회의를 통해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 등 금융 안정 지표를 주시하면서 신중한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금통위의 결정은 내수 활성화를 위해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의 기조를 변경한 첫 번째 사례로, 이후 정책 기조가 어떻게 이어질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