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호겸 기자]

포스코그룹(회장 장인화)이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주대영)과 AI 기술을 활용해 해양생태계 보호에 나섰다. 포스코DX의 첨단 모니터링 시스템과 포스코스틸리온의 혁신적인 펜스 기술을 결합, 멸종위기 해양생물 보호를 위한 파격적인 ESG 협력 모델을 제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포스코DX(대표이사 심민석)는 29일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주대영), 포스코스틸리온(대표이사 천시열)와 해양생물 찻길 사고 예방을 위한 ESG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포스코DX, AI로 해양생물 지키다...국립공원과 \ 첨단 생태보전\  맞손심민석(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포스코DX 사장이 29일 판교사무소에서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 윤석철 포스코스틸리온 컬러마케팅실장과 해양생물 찻길 사고 예방을 위한 ESG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 포스코DX]

이번 협약을 통해 포스코DX는 자사의 AI기술을 적용한 ‘해양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경남 남해와 사천 일대의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에 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 이 지역은 육지에서 서식하는 게류와 토종 고래인 상괭이 등 해양보호종으로 지정된 생물들이 살고 있다. 이번 시스템 적용을 통해 스마트 CCTV로 이들의 출현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Vision AI로 영상을 판독·분석해 개체수와 출몰 패턴 등을 지속 관찰함으로써 해양보호종 보전과 관리도 지원할 예정이다.


포스코스틸리온은 프리미엄 잉크젯프린트 강판인 포스아트(PosART)를 활용해 해양 생물이 해안 도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펜스와 운전자 주의 표지판을 설치할 예정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시스템 설치와 관련하여 실무협의회를 운영하는 등 행정, 기술적 지원을 총괄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포스코그룹의 다양한 역량을 결집해 환경, 사회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는 그룹 차원의 사회공헌활동으로, ‘세포시(세상을 바꾸는 포스코그룹 시너지공헌활동)’와 ‘포스코1%나눔재단’의 기금을 활용해 추진될 예정이다.


심민석 포스코DX 사장은 29일 협약식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포스코DX의 AI기술이 활용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시스템이 실질적인 효과를 내 더욱 의미 있게 쓰여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laghrua823@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4-29 16:02:4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삼성SDS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4차산업혁명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