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대표이사 장재훈)가 기아와 함께 탄소 배출량 관리 체계를 보강해 글로벌 환경규제에 발맞춘다.
현대차·기아는 30일 ‘글로벌 통합 탄소 배출 정보 시스템(Integrated Greenhouse gas Information System, 이하 IGIS)’을 구축하며 탄소 배출량 관리 체계를 한층 강화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기아, 글로벌 통합 탄소 배출 정보 시스템 구축 [사진=현대자동차]IGIS는 원소재 채취부터 제조, 수송, 운행, 폐기에 이르는 완성차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현대차·기아는 이를 통해 제품 단위의 탄소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 구축된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GEMS)과 협력사 탄소 배출 이력 관리 시스템(SCEMS)을 통합한 IGIS는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하고, 탄소 배출 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자동차 생애주기 전 과정을 연결한 ‘완성차 전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기능도 추가됐다. 이 기능은 과정별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해 더욱 체계적인 탄소 배출 관리와 규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에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시스템을 통합함으로써 업무 효율이 증대되었고, 시스템 연동을 통한 자동화도 가능해졌다.
현대차·기아 ICT본부장 진은숙 부사장은 “탄소중립 2045 목표를 위해 IGIS를 구축했다”며 “체계적인 관리로 탄소 배출량을 저감하고 친환경 밸류체인을 구축해 글로벌 탄소중립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