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무원·공공기관 채용 등을 통해 공공부문 중심으로 일자리 156만개를 만들어 제공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고용 쇼크’를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14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17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코로나19 사태는 당장의 일자리 상실은 물론 노동·고용시장 전반에 양적·질적으로 큰 충격과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며, 이 같은 일자리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문재인 대통령 주재 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마련하기로 결정한 10조원 규모의 고용안정패키지 대책의 후속조치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일자리 156만개를 긴급 제공할 방침이다.
156만개 일자리는 △노인일자리, 자활근로사업 등 공공부문 직접일자리 94만5000개, △공무원·공공기관 일자리 4만8000개, △이미 채용된 1만9000명 공공부문 일자리, △직접일자리 55만개+α를 합산한 것이다.
직접일자리 55만개+α는 청년층 경력개발에 도움이 되는 공공분야 비대면 디지털 일자리 10만개, 민간 분야 청년 디지털일자리 5만개, 청년 일경험일자리 5만개, 취약계층 일자리 30만개, 중소·중견기업 채용보조금 일자리 5만명 등이다.
정부는 공무원·공공기관 채용 절차는 이번 달부터 재개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4만8000명을 채용해 나갈 예정이다. 당장 오는 16일 5급 공무원 공채와 외교관, 7급 지역인재를 뽑는 국가공무원 1차 시험을 보고, 30일 경찰 공채시험도 치른다.
5월 13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와 관련 4월 고용동향을 주요내용으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특수고용노동자, 플랫폼 노동자 등에 대한 보호 강화 등 전 국민 고용안전망 토대 구축 작업도 경제중대본 중심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판 뉴딜 추진과 연계해 노동·고용정책도 점차 디지털 친화형으로 전환하되 비대면·디지털 일자리를 늘리며, 재택근무 등 업무방식 변화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간다.
홍 부총리는 “궁극적으로 일자리 유지·창출의 주역은 민간(기업)의 몫”이라며 “무엇보다 민간에서 지속적인 일자리가 만들어지도록 내수진작, 투자활성화, 규제혁파, 경영애로 해소 등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