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화되면서 경기 둔화의 우려가 커지면서 반도체 산업이 수요 회복 속도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삼정KPMG의 ‘코로나19로 인한 반도체 산업의 변화’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 반도체 전방 산업의 수요 위축으로 출하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단가 하락 등의 부정적인 영향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온라인 강의 등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며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등에 대한 수요 늘어난 것이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게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등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고 온라인 트래픽 증가에 따른 데이터 센터 확장이 메모리 반도체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봤다. 이와 함께 온라인 강의, 재택근무 확대로 인해 네트워크와 컴퓨팅·서버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코로나19 사태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며 반도체 수요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응용프로세서(AP), 이미지센서, 낸드플래시 등 스마트폰 반도체 시장은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데스크톱PC, 스마트TV, 셋톱박스 등 컨슈머 제품에 탑재되는 반도체 시장 또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봤다.
실제로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수요 감소로 관세청 통관기준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의 반도체 수출액(잠정치)은 전년비 14.9% 떨어졌다.
한편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비교적 차질 없이 생산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공정이 타 제조 산업 대비 고도로 자동화되어 있어 노동력 부족 및 인력 이동 제한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것이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들도 코로나19 사태에서 생산 중단 없이 지속 가능하도록 ‘반도체필수 산업 지정’에 대한 공동성명서를 발표하며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다만 보고서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반도체 산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공급망 리스크 관리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외 생산 공장의 생산 차질에 대비하는 등 공급망 리스크 관리 시스템 고도화와 함께 생산 장비와 반도체 원재료, 부품 공급망을 점검하고 대체공급자와 대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내 반도체 기업들도 코로나19로 나타날 수요 시장 변화에 맞춰 생산, 공급 조정에 중심을 두는 전략을 갖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서버용 반도체는 생산량을 늘리는 라인업 조정이 필요하고 수요가 축소될 것으로 보이는 스마트폰과 PC용 반도체는 생산량을 줄여 가격 방어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삼정KPMG는 “반도체 산업이 코로나19로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새로운 리스크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현재의 위기를 기술 격차를 벌릴 수 있는 기회로 삼고 초미세 공정의 기술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빌리티, 모바일, 인공지능 등 새로운 반도체 시장 진입을 통해 반도체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화하고 시장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을 실행하며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