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국내 대기업 4곳 중 1곳은 대졸자 신규 채용 규모를 줄이거나, 채용을 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채용 계획을 정하지 못한 기업도 3곳 중 1곳에 달했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달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종업원 수 300인 이상 매출액 500대 기업 대상 '2020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0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 [사진=한국경제연구원]
응답기업 126개 중 27.8%는 올해 상반기 채용을 지난해 상반기보다 축소하거나,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채용을 줄이겠다고 한 기업은 19.0%, 한 명도 뽑지 않는다고 한 기업은 8.8%였다. 상반기 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기업은 32.5%였다. 채용을 늘리겠다고 한 기업은 5.6%에 불과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이번 조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전인 지난달 2∼19일 실시한 것으로, 최근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하는 것을 고려할 때 대기업 고용시장은 이번 조사 결과보다 훨씬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규채용 축소 및 비슷 이유, 올해 채용시장 특징 전망. [사진=한국경제연구원]
대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국내외 경제·업종 상황 악화(43.6%)였다. 이어 △회사 내부 상황 악화(34.6%), △신입사원 조기퇴사·이직 등 인력유출 감소(24.4%), △인건비 부담 증가(19.2%), △신규채용 여력 감소(10.3%) 등의 순이었다.
한편, 올해 채용시장 특징으로는 △경력직 채용 증가(62.7%), △대졸신입 수시채용 증가(51.6%), △정규직 전환형 인턴제도 도입 증가(26.2%),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규채용 확대(26.2%), △블라인드 채용 확산(15.1%) 등이 거론됐다.
대졸 신입채용에서 이미 수시채용을 도입한 기업은 52.4%로 절반이 넘었고, 앞으로 도입할 계획인 기업도 14.3%로 조사됐다.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기 위해 정부와 국회가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투자 활성화 유도(50.0%), △고용증가 기업에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 확대(49.2%), △신산업·신성장동력 육성 지원(35.7%),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31.7%), △미스매치 해소(19.0%) 등이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