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이 최근 3년간 단기 일자리로 1만9000여 명을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된 수당만 1061억원이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이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23개 국토부 산하기관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각 기관들은 최근 3년간 단기 인력 1만9422명을 채용하면서 1061억원을 지출했다.
국토부 산하기관 단기일자리 및 체험형인턴 현황. [사진=국토교통부]
이들 기관은 2017년 단기 인력 4470명을 채용하면서 203억원을 집행했다. 그러나 지난해 청와대와 기재부가 나서 정부산하 공기업과 공공기관에 단기 인력 채용을 압박하자, 국토부 산하기관들은 428억원을 들여 전년비 1.9배 증가한 8779명을 채용했다. 올해는 9월말 현재까지 모두 6173명을 채용하거나 채용할 예정으로 투입되는 재정은 429억원 수준이다.
최근 3년간 단기 인력을 가장 많이 채용한 기관은 LH로 7614명을 뽑는데 476억원을 들였다. 올해 9월말 현재 LH의 정규직 직원은 7062명으로 3년간 정규직 직원보다 많은 단기 인력을 채용했다.
이어 △한국도로공사 4552명(345억원) △인천국제공항공사 1415명(31억원) △한국철도공사 1302명(39억원) △한국감정원 915명(14억원) △한국교통안전공단 881명(62억원) 순이었다.
LH는 1793명을 주택 환경정비, 시설물 점검 등 주택 관리 보조에 활용하고 있고, 250명은 매입 임대 주택을 물색하고 매입신청 주택 현장을 실태 조사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다음 달부터 내년 3월까지 겨울철 제설작업을 위해 1098명을 활용할 방침이다.
한국공항공사는 지난 1일부터 연말까지 3개월간 청년인턴 62명을 운영 중이다. 인턴의 전문성 활용이 가능한 직무를 부여한다는 계획이지만, 보안상 책임 있는 임무 부여 금지나 중요시설 출입 통제 등 규제가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올해 10월부터 내년 4월까지 제주도 거주 만 50∼70세 중년 일자리 문제 해소를 위해 오름 관리 및 해설자 290명, 재래시장 홍보 등 소셜미디어 PD 12명을 운영할 예정이다.
올해 6월 기획재정부는 일자리 실적을 공공기관 경영실적 주요 요소로 평가했다. 그 결과 LH는 지난해보다 단기 일자리를 대폭 확대한 공을 인정받아 우수(A) 등급을 받았고 기관장은 1억158만6000원의 성과급을 받게 됐다.
민 의원은 “반드시 필요한 단기 인력이 있을 수 있지만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2~3명이 나눠서 하는 등 일자리 실적 늘리기에 활용되는 것은 큰 문제”라며 “정부의 재정일자리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