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수출이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의 수출규제 등 대외여건의 악화 속에서 9개월 연속 감소했다. 다만 산업통상자원부는 일본의 수출규제가 한국의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6% 줄어든 442억달러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수출이 -1.7%로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9개월 연속 감소세다. 월별로는 6월 -13.8%, 7월 -11%에 이어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했다.
수출액 증감 추이. [자료=산업통상자원부]
품목별로는 30.7% 줄어든 반도체가 감소세를 주도했다. 7월 D램·낸드 단가의 일시 반등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비 50% 이상 떨어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고, 글로벌 기업 재고 조정, 미중 분쟁 심화, 일본 수출규제 등으로 반도체 업황 불확실성이 증대된 영향이다.
석유화학과 석유제품도 각각 19.2%, 14.1% 줄었다. 반면 자동차(4.6%)와 선박(168.6%) 등 주력품목과 2차전지(3.6%), 농수산식품(5.7%), 화장품(1.1%) 등 신수출동력품목은 호조세를 유지했다.
산업부는 "미중 무역분쟁 심화와 일본 수출 규제 등 대외 여건이 악화하고 전년도 기저효과, 조업일 감소(-0.5일)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최근 미중무역분쟁 심화, 일본 수출규제, 홍콩 사태 등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가중돼 우리 수출의 회복이 지연되고 있지만 반도체·석유화학·자동차 중심으로 전체적인 수출 물량은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며 “9월 6일 민관합동 무역전략조정회의를 통해 하반기 수출 총력 지원체계를 재정비하고 무역금융 공급 및 수출 마케팅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수출모멘텀 회복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언급했다.
이어 “최근 확보한 추경 1168억원을 최대한 활용해 하반기 총 119조원의 무역금융을 공급하고 412회의 해외마케팅·전시회 등 현장 밀착 지원 활동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며 “일본 수출규제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고 했다.
아울러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예타면제를 통한 대규모 R&D 자금을 투입하고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기업과의 M&A에 무역금융을 지원해 수입선 다변화뿐만 아니라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차세대 수출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집중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