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이 서울대학교(총장 유홍림), KT(대표이사 김영섭)와 업무협약(MOU)을 체결, AI로 전력산업의 혁신을 이끈다.
한전은 지난 19일 서울대학교에서 ‘전력산업 특화 AI 개발·실증’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김동철(오른쪽) 한전 사장이 지난 19일 서울대학교에서 '전력산업 특화 AI 개발·실증' MOU를 체결하며 유홍림(가운데) 서울대 총장, 김영섭(왼쪽) KT 대표이사와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한전]
이번 협약은 전력망 스마트화와 분산e 확산 등 에너지산업 환경변화와 연계, 전력산업에 특화된 AI 솔루션과 인프라를 개발·활용해 국가 전력시스템 전반의 효율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협약에 참여한 3개 기관은 사내 민감 데이터를 처리하는 내부망 생성형 AI와 외부망 범용 생성형 AI(챗GPT 등)가 결합된 형태로 데이터 보안을 유지하며 최신 생성형 AI의 강점을 모두 활용하는 방식인 「Hybrid Cloud 기반 전력산업 특화 AI 솔루션·보안시스템 구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후, 내부망-외부망 연계구간 보안통제 정책(민감정보 차단, 암호화 등) 적용을 통해 정부 보안가이드라인 충족여부 사전 검증 등 생성형 AI 모델 적용 가능성을 실증해, 첨단 생성형 AI의 학습·추론 기능 등을 활용하여 전력시스템을 획기적으로 혁신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에너지 및 AI 융합형 전문인력 양성과 AI 기반 에너지 신사업·신기술 활성화를 위한 연관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단계적 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협약기관별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한전) 전력산업 특화 AI 개발‧활용 기본 방향 및 실행전략 마련, AI 기반 융복합 신사업모델 발굴·R&D·실증 총괄 △(서울대) 전력시스템 선진화 전략방향 제시·보안기준 정립, 전문 인력양성 등 △(KT) 보안기술 적용 클라우드 AI 모델 연계 실증, 최적 AI 솔루션 제시 등.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지금은 인공지능 융복합 기술에 기반한 에너지 생태계 전반의 AI 대전환과 미래 도약의 기회를 적극 모색할 때이며, 이번 협약을 통해 3개 기관이 힘을 모은다면 우리나라 전력산업은 글로벌 에너지 산업의 First Mover로 자리 잡고, 새로운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세 기관은 에너지·AI 융합 프로젝트의 협력 범위를 혁신벤처와 스타트업 등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에너지·AI 특화 솔루션 비즈모델 개발과 해외시장 공동진출에 앞장서 국가 미래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