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하 한전, 대표이사 김동철)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전기요금 패턴을 분석한다.
한전은 요금 위험을 사전에 예측,안내하는 서비스를 개발해 12월부터 시범서비스를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이 서비스를 통해 혹한기(겨울철) 난방사용과 혹서기(여름철) 냉방 수요 급증으로 예상치 못한 전기요금 증가에 대한 고객 불만을 줄이고, 요금절감과 스마트한 에너지 절약 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이 목표다.
전남 나주에 위치한 한국전력 본사 사옥 전경. [사진=한전]지난 7월 기획재정부가 주관한 ‘대국민서비스 개선 과제’ 공모에서 선정된 프로젝트로 한전은 디지털전환실, 전력연구원 및 강원본부 등 사내 조직을 중심으로 애자일(Agile) 팀을 구성해 9월부터 100% 한전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했다.
특히, 최신 지능형 검침 인프라(AMI)와 AI 기반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해 서비스 정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했으며, 고객 맞춤형 설계를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디지털 전환을 구현했다.
한전은 12월부터 서울과 강원 일부 지역에서 주택용을 사용하는 저소득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알림톡 형식의 시범서비스를 운영할 예정이며, 해당가구는 10일간 전기사용량으로 한달 사용량을 예측해 당월 전기요금이 과다하게 청구될 것으로 예상시 사용량을 절감하도록 안내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