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T로보틱스(대표이사 김만구)가 유니버설로봇(UR)·자율주행로봇(AMR) 기반 자동화 수요 확대로 7월 말 누적 수주 50억원을 달성했다.
HRT로보틱스가 지난달 말 기준 누적 수주액 50억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의 약 85%를 달성했다. [이미지=더밸류뉴스]
산업용 협동로봇 전문기업 HRT로보틱스(이하 HRT)는 지난달 말 기준 누적 수주액이 50억원이라고 1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연간 매출의 약 85% 수준이다.
HRT는 하반기 대구 본사 신공장 이전과 서울지사 신설을 진행한다. 회사는 연내 연간 수주 100억원 달성을 목표로 CAPA(생산능력)와 영업 기반을 확대할 계획이다.
모회사 와이투솔루션은 이달 5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마쳤다. HRT는 해당 자금을 토대로 인력 충원과 설비 투자를 진행 중이다.
HRT는 유니버설로봇(UR)과 자율주행로봇(AMR) 전문기업 미르(MiR) 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자동차, 2차전지, 식품·제약 등 산업에 공급하고 있다. 최근 수주 증가는 기존 고객 발주 증가와 신규 프로젝트 계약 증가에 따른 것이다.
생산설비는 현재 풀가동 상태다. 회사는 하반기부터 매출 인식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신공장은 오는 10월 완공 예정이다. 가동 시 CAPA와 작업 효율, 고객 대응 속도가 개선된다. HRT는 설계–제작–설치–A/S까지 일관 생산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협동로봇과 AMR을 연계한 자동화 라인과 AI 기반 비전 솔루션 고도화를 병행하고 있다.
HRT로보틱 관계자는 “하반기 CAPA 확대와 모회사와의 협업을 통해 자동화 솔루션 중심의 사업 구조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