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이사 김영섭)가 2분기 매출액 7조4274억원, 영업이익 1조148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다(K-IFRS 연결). 전년동기대비 매출액 13.5%, 영업이익 105.4% 늘었다.
KT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기반 확대와 번호이동 가입자 순증으로 서비스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1.6% 증가했다. 올해 2분기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9.5%다.
유선 사업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4% 늘었다. 초고속인터넷은 지난 5월 국내 최초로 가입자 1000만을 돌파했고 관련 매출도 2.1% 증가했다.
미디어 사업은 VOD 매출 감소에도 IPTV 가입자 순증 확대와 프리미엄 요금제 이용 증가로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0.8% 성장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저수익 사업의 합리화 추진에도 통신과 AI·IT 사업의 성장으로 전년동기대비 4.5% 증가했다. AI·IT 분야는 Design&Build 및 클라우드 사업 호조로 13.8% 성장했다. 2분기 국내 기업 AX 전환 수요에 대응하며 대형 고객사 및 IT 기업을 대상으로 수주에 성공했다.
KT Cloud는 데이터센터(DC)와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이 23% 증가했다. DC 사업은 글로벌 고객 코로케이션 서비스 수요 증가와 DBO(설계·구축·운영) 사업 수주 확대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클라우드 사업은 공공 부문에서 리더십을 강화했고 기업고객 대상 AI 클라우드 매출도 증가세를 보였다.
KT에스테이트는 임대 부문 성장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이 2% 증가했다. 호텔 부문은 연휴 특수에 따른 레저 수요 확대와 프리미엄 객실 중심 운영전략으로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
금융 부문은 BC카드가 국내 결제 매입액 감소에도 리스크 관리 강화와 수익성 강화 전략을 수행하며 전년동기 수준의 영업이익을 유지했다. BC카드는 자체 카드 및 금융사업 확대와 플랫폼 비즈니스 강화를 통해 성장 기반을 확장할 계획이다.
케이뱅크는 여수신의 고른 성장과 고객 기반 확대로 지난 6월 고객 수 1400만명을 돌파했다. 수신 잔액은 전년동기대비 22.5% 증가한 27조억원, 여신 잔액은 10.8% 증가한 17조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