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훈 인턴 기자
SKT(대표이사 유영상)가 크래프톤, 포티투닷 등과 손잡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모델 개발을 본격화한다.
SKT는 오픈소스 커뮤니티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독자 구축 LLM인 'A.X(에이닷엑스) 3.1'을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SKT가 크래프톤, 포티투닷 등의 회사들과 손잡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모델 개발을 본격화한다. [사진=더밸류뉴스]
A.X 3.1은 340억개의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하는데, SKT는 이 모델의 구축과 데이터 학습 등 전 단계를 직접 수행했다.
A.X 3.1은 전작 A.X 3.0보다 코드 및 수학 성능을 대폭 강화한 개선 모델이다. 기존 A.X 3.0이 한국어 대화 성능에 집중했다면, A.X 3.1은 추론 모델로의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코드와 계산 능력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SKT는 지금까지 프롬 스크래치(모델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직접 구축) 방식 모델 A.X 3.1(표준, 경량)과 대규모 학습(CPT)에 기반한 모델 A.X 4.0(표준, 경량)을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A.X 3.1은 자사 A.X 4.0과 비교할 때 340억개라는 절반 이하의 매개변수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대표적인 한국어 능력 평가 벤치마크(컴퓨터의 부품 등의 성능을 평가한 점수)인 KMMLU에서 A.X 4.0 대비 88%의 성능을 발휘하는 등 뒤쳐지지 않는 성능을 보였다. 사용자들은 A.X 3.1과 A.X 4.0 중에 사용 환경에 더 적합한 성능과 효율을 고려해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S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도 지원했다. 먼저 SKT는 독자 기술 기반으로 국내 AI 생태계 기업들이 사용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을 목표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컨소시엄에는 국내 최대 게임 상장사 크래프톤, 모빌리티 데이터 전문 포티투닷, 추론형 AI 반도체(NPU) 제작사인 리벨리온 등 업계와 서울대학교 연구실, KAIST 연구진 등의 학계가 참여한다.
SKT 컨소시엄은 자체 개발 대규모언어모델(LLM)인 A.X와 각 참여사가 보유한 자체 LLM 및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독자 파운데이션 신규 모델을 만들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각 분야 선도기업들과의 컨소시엄 구성으로 향후 소버린 AI 분야에서 새로운 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라며, "국내 AI 생태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혁신적인 인공지능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