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콜마(회장 윤동한)가 미국 제2공장을 통해 북미의 다양한 밸류체인 파트너들과 K뷰티 제조혁신 생태계를 구축한다.
윤상현(오른쪽 6번째) 콜마그룹 부회장이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니아주 스콧 타운십에서 열린 콜마 USA 제2공장 준공식에서 허용철(오른쪽 4번째) 콜마USA 대표이사 사장, 브리짓 코시에로스키(왼쪽 2번째) 펜실베니아주 하원의원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한국콜마]
한국콜마는 지난 16일(현지시각) 미국 펜실베니아주 스콧 타운십에서 콜마 USA 제2공장 준공식을 열었다고 17일 밝혔다.
행사에는 윤상현 콜마그룹 부회장, 브리짓 코시에로스키 펜실베니아주 하원의원, 고객사 대표들을 비롯해 100여 명이 참석했다.
제2공장은 연면적 1만7805㎡ 규모로, 연간 약 1억2000만 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기존 1공장과 합치면 연간 생산 규모는 약 3억 개로 늘어난다. 캐나다 법인까지 더하면 북미 지역 전체에서 연간 약 4억7000만 개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북미 내 ODM(위탁생산) 기업 가운데 최대 생산 규모다.
제2공장은 기초스킨케어와 선케어 화장품을 생산한다. 한국콜마는 색조 화장품 생산 중심의 1공장과 제2공장을 합쳐 색조, 기초스킨케어, 선케어 제품 등 전 품목의 ODM 생산이 가능해졌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부터 자외선차단제 생산을 위한 OTC(일반의약품) 인증을 취득해 급증하는 K-선크림 수요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한국콜마는 전 세계 4300여개 고객사로부터 인정 받은 세종 공장의 선진화된 생산 시스템을 제2공장에 적용했다. 최근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MADE BY KOLMAR’ 제조 기술력을 미국 본토에 그대로 이식해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도 한국 생산품과 동일한 수준의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제조실, 충전실, 포장실 등 핵심 제조 인프라를 한국 세종공장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설계했다. 생산 공정은 최첨단 AI 기반 품질 모니터링과 공정 최적화 기술을 도입해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전체 공정 시스템의 80%를 자동화했다. 생산 효율성과 안전성을 극대화 시킨 물류·작업자 동선까지 세종공장과 동일하게 적용했다.
제2공장은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있는 ‘관세 안전지대’ 역할을 수행하며 국내외 고객사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현지 브랜드와 ‘MADE IN USA’ 를 선택하고 있는 글로벌 고객사들에게 최적의 협업 파트너가 될 것이다.
한국콜마는 관세 부담 없이 미국 진출을 원하는 K뷰티와 북미, 유럽, 남미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원하는 고객사들의 요구에 대응하며 협업 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