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제약(대표이사 류기성 김경훈)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2차)'에 선정되며 AI(인공지능) 기반 의약품 품질관리 기술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총 사업비 84억원 규모의 국책사업으로, 경동제약은 공동연구기관으로 참가해 핵심적인 연구를 담당한다.
경동제약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5년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2차)'에 선정돼 인공지능(AI) 기반 의약품 품질관리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경동제약 50주년 엠블럼. [이미지=경동제약]
이번 국책과제는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순물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AI 기반 통합 플랫폼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경동제약은 세부 과제 중 하나인 ‘AI 기반 의약품 유연물질·불순물 발생 예측 및 독성 저감화와 품질관리 예측 플랫폼 개발’을 맡아, 의약품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연물질 및 독성 데이터 수집·분석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진행한다. ‘유연물질’이란 의약품 생산 과정에서 주성분과 연관된 화합물이 분해되거나 변화하면서 생성되는 불순물을 말하며, 소비자 안전성과 직결된 핵심 관리대상이다.
이후 공동연구기관인 알케가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AI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측 통합 플랫폼을 완성할 계획이다. 개발된 플랫폼은 실제 제조 공정 데이터를 통해 검증을 마친 뒤 국가 인증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이번 개발은 기존 외산 프로그램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기술 기반 품질 관리 시스템의 자립화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조 공정 품질을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해 의약품의 품질 안정성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경동제약 관계자는 “이번 과제가 의약품 제조 업계의 디지털 전환과 품질 혁신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국내 AI 품질 관리 기술의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는 플랫폼으로 자리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경동제약은 축적된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 제조 데이터를 활용해 이번 AI 프로그램 개발에 필수적인 빅데이터의 기반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경동제약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제조 공정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높여 국내 제약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도 중요한 축으로 자리잡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국산 AI 기술을 통해 의약품 품질 관리 고도화를 실현하려는 경동제약의 이번 도전은, 국내 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