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대표이사 김미섭 허선호)이 금융권 망분리 및 데이터 보안 이슈를 극복하기 위해 자체 AI 모델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업무 지원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미래에셋증권은 AI 활용해 전사적인 업무 효율화를 추진하기 위해 AI 어시스턴트(Assistant) 플랫폼을 도입했다고 20일 밝혔다.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미래에셋증권 본사 전경. [사진=미래에셋증권]
AI 어시스턴트 플랫폼은 미래에셋증권 직원, 개별 부서가 직접, 자신만의 업무매뉴얼이나 노하우가 담긴 문서들을 업로드하여 학습시킨 후 전용 챗봇을 만들어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AI 어시스턴트 플랫폼은 회사 전체 업무 중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회사 업무 전반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또, 직원 누구나 본인만의 업무 어시스턴트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AI비전문가도 쉽게 챗봇을 생성 및 활용할 수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AI 어시스턴트 플랫폼이 전사 업무로 확장될 수 있도록 회사 내부에 전용 대형 언어 모델(LLM)도 구축했다. 하이퍼클로바 X 대시라는 이름을 가진 전용 대형 언어 모델은 미래에셋증권과 네이버클라우드 두 회사의 협업의 결과다.
현재 금융사는 망분리 이슈, 데이터 보안 이슈로 이미 개발되어 있는 생성형AI를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미래에셋증권은 최고 수준의 AI기술력을 보유한 네이버클라우드와 지난해부터 소통 및 협업을 시작해 회사 내부에 활용할 수 있는 온프레미스형 (회사 내부 IT 인프라) 소형언어모델(sLLM)을 구축했다.
미래에셋증권은 회사 내 AI적용을 위해서는 지피티(GPT)와 같은 대형 모델보다 업무별로 특화된 소형언어보델이 효율적이라는 판단 하에, 금융분야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소형언어모델을 활용했으며, 학습을 통해 개선 및 고도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