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은행장 이재근)이 서울 오피스 빌딩의 가격 및 임대료 흐름과 수익률 추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선보인다. 이에 사용자가 손 쉽게 지수를 조회하고 그래프나 지도를 통해 시각화된 자료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KB국민은행이 '2023년 2분기 KB 오피스 투자지수’를 23일 발표했다. KB 오피스 투자지수는 지난 2020년부터 업계∙학계 전문가와 함께 기초자료, 지수산정 방법론, 지수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개발됐다.
서울 오피스 가격지수 추이와 전기 대비 변동률. [자료=KB국민은행]KB국민은행이 발표한 올해 2분기 서울 오피스 가격지수는 107.14로 전분기대비 0.96% 상승했다. 경기 여건 악화에도 가격 상승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1분기(1.75%) 대비 상승폭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권역별로는 투자 선호도가 높은 GBD(강남권)과 YBD(여의도권) 오피스 가격지수가 전분기대비 0.98% 상승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CBD(도심권) 0.94%, OBD(기타권) 0.91%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 오피스 임대가격지수 추이와 전년동기대비 변동률. [자료=KB국민은행]
신규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임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서울 오피스 임대료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2분기 서울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114.06으로 전년동기대비 9.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임대가격지수 상승률은 CBD(도심권)가 11.0%로 가장 높았으며 GBD(강남권) 9.2%, YBD(여의도권) 7.5%, OBD(기타권) 6.5%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승폭이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2018년부터 2020년까지 2%에서 4%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서울 오피스 실효운영수익률과 금리스프레드. [자료=KB국민은행]
지난해 2분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오피스 실효운영수익률은 올해 2분기 3.31%를 기록해 전분기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실효운영수익률과 국고채(5년) 금리 차이(스프레드)는 지난해 4분기 -0.65%p까지 확대됐으나 이후 실효운영수익률 상승과 국고채 금리 하락으로 2분기 -0.07%p로 격차를 좁혔다. 2분기 실효운영수익률은 CBD(도심권)이 3.51%로 가장 높았으며 YBD(여의도권)이 3.47%, OBD(기타권)이 3.31%, GBD(강남권) 3.12% 수준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