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대표이사 경계현 한종희)가 데이터 처리 기능이 탑재된 SSD를 출시하는 등 차세대 스토리지(저장공간) 제품군 개발·확대에 나선다.
삼성전자가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내부 연산 기능을 강화한 '2세대 스마트SSD'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삼성전자가 내부 연산 기능을 강화한 '2세대 스마트 SSD'를 개발했다. [이미지=삼성전자]삼성전자 2세대 스마트SSD에는 고객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스마트SSD에 내장된 Arm(영국 반도체 기업) 코어와 IP(설계자산)를 활용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이 탑재되는 등 이전 제품 대비 연산 성능이 2배 이상 향상됐다. 2세대 스마트SSD를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일반 SSD를 탑재한 시스템 대비 일부 데이터베이스 연산처리에서 시간은 최고 50% 이상, 에너지 소모는 최고 70%, CPU(중앙처리장치) 사용률은 최고 97%까지 줄일 수 있다.
앞서 삼성전자와 AMD(미국 반도체 제조 기업)가 지난 2020년 공동 개발한 1세대 스마트SSD는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IT(정보통신기술) 기업들에 공급되고 있다. 이 제품은 지난해 'CES 혁신상(Innovations Honoree)'을 수상했다.
삼성전자 스마트SSD는 연산을 위한 프로세서를 내장해 스토리지 내에서 데이터의 연산 처리가 가능한 컴퓨테이셔널 스토리지(Computational Storage) 중 하나이다. 컴퓨테이셔널 스토리지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메타버스, 인공지능, 빅데이터, 딥러닝(Deep Learning)·머신러닝(Machine Learning), 5G·6G 등 분야에서 효율적인 서비스가 가능한 차세대 저장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 스마트SSD는 데이터 저장 기능만 하는 기존 SSD와 달리 SSD 내부에 연산 기능을 탑재해 특정 데이터 처리 시 SSD 내부에서 직접 연산 기능을 수행해 CPU, GPU(그래픽 처리장치), RAM(램) 사이의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동시에 향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