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이하 한결원)은 “최근 제로페이로 실질적 매출이 상승하는 자영업자들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결제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민관이 합작해 만든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이다. 소비자가 매장 QR코드를 인식하여 결제하면, 소비자의 계좌에서 가맹점의 계좌로 이체 되는 방식이다.
한결원에 따르면 지난 6월에 스마트한 소비자 커뮤니티라는 온라인 카페에 한 사업자가 제로페이로 매출이 상승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사업장의 특정 기간 제로페이 매출이 1100여만원인데 카드 결제 매출이었다면 결제 수수료가 25만원이었을 것이라며, 제로페이 수수료는 2300원에 불과하다는 내용이다.
온라인 한 카페에서 제로페이 수수료 절감에 대한 글이 올라 왔다. [사진=더밸류뉴스(한결원 제공)]
이에 한결원은 “제로페이는 수수료가 낮고 소상공인 가맹점 기준으로 지난해 매출액이 8억원 이하면 수수료는 0%, 8억원 초과 12억원 이하 사업장의 경우 0.3%, 12억원 초과 사업장은 0.5%의 수수료를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번 제로페이 매출 상승요인은 지역사랑상품권과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 및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영향이 컸다. 서울사랑상품권의 경우 최대 결제액이 81억원에 달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사용 범위가 해당 지역 내로 한정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윤완수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은 “제로페이는 소비자와 가맹점 모두 상생하는 윈∙윈 인프라”라며 “앞으로도 제로페이가 언택트 중심의 생활 금융 인프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