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1번째 유니콘기업이 탄생했다. 유니콘기업은 기업가치 1조 이상인 비상장 벤처기업으로 해당 국가의 벤처생태계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평가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바이오시밀러(면역치료제) 제조업체인 에이프로젠이 9일 자로 미국 시장조사 업체 CB인사이트의 유니콘기업 명단에 등재됐다고 10일 밝혔다.
생명공학 벤처기업 에이프로젠이 지난 9일 국내 11번째 유니콘 기업에 등재됐다. [사진=에이프로젠]
앞서 온라인 패션 플랫폼 업체 무신사가 지난달 글로벌 벤처캐피털(VC)로부터 2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아 10번째 유니콘기업으로 등재됐다. 이어 에이프로젠이 2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해 기업가치 1조원을 넘기면서 11번째 유니콘기업에 올랐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국가별 유니콘기업 순위는 △미국(210개사) △중국(102개사) △영국(22개사) △인도(18개사)에 이어 독일과 함께 공동 5위로 상승했다.
그동안 국내 유니콘기업은 주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 집중돼 왔다. 중기부는 “에이프로젠이 이번에 처음으로 생명공학 분야의 유니콘기업으로 등재되면서 유니콘기업의 업종이 좀 더 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이전까지 국내에서 유니콘기업으로 이름을 올린 기업은 2014년 쿠팡과 옐로모바일을 시작으로, L&P코스메틱, 크래프톤, 비바리퍼블리카, 우아한형제들, 야놀자, 위메프, 지피클럽까지 총 9곳이었다.
에이프로젠은 김재섭 대표가 카이스트 교수로 재직 중이던 2000년 제넥셀을 설립하고 2006년 에이프로젠을 인수하면서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후 2009년 에이프로젠제약으로부터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GS071) 기술을 이전 받아 2014년 일본 니치이코제약과 판권계약을 맺었다. 올해 5월에는 한국과 중국의 중소, 중견기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VC인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로부터 2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최근 국내 유니콘기업의 탄생속도가 가속화하고 있다. 과거 유니콘기업이 늘어나는 데 1년 이상 소요된 것에 비해 지난해 3개사, 올해에는 5개사가 신규 등록되는 등 증가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연도별 유니콘기업 누적 수를 보면 △2014년 2개사 △2017년 3개사 △2018년 6개사 △2019년 11개사이다.
우리나라의 국가별 유니콘기업 순위는 지난해 6월 7위에서 올해 5월 5위로 상승했다가, 7월 독일의 유니콘기업 신규 증가로 6위로 다시 낮아졌다. 그러나 이번에 무신사와 에이프로젠이 연이어 등재되면서 독일과 나란히 5위에 이름을 올렸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유니콘기업 수가 증가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스타트업 창업자와 벤처투자자의 땀과 노력으로 벤처생태계가 성숙하는 증거"라며 "정부도 벤처투자 확대와 예비 유니콘기업 발굴·육성으로 더 많은 유니콘기업이 나올 수 있는 벤처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