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절반에 가까운 자산운용사가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여의도증권가 전경. [사진=더밸류뉴스]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3분기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자산운용사 275곳 가운데 142곳(51.5%)은 흑자를 냈으나 133곳(48.4%)은 399억원의 적자를 냈다. 적자 회사 비율은 전 분기보다 3.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2분기 적자사는 101곳(54.3%)이었다.
특히 사모 전문 자산운용사 200곳 중 56.5%인 113곳이 3분기에 적자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자산운용사 운용자산 추이. [사진=금융감독원]
전체 자산운용사가 번 순이익은 2064억원으로 전분기비 3.0% 감소했다. 반면 전년비는 25.6% 증가했다. 3분기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12.4%로 전분기비 0.9% 줄었다. 자산운용사 수익 중 수수료 수익은 6715억원으로 전분기비 1.0% 증가했고 고유재산을 운용해 얻은 증권투자수익은 26억원으로 81.0% 감소했다. 금감원은 증권투자수익 감소는 주식 시장 부진에 따른 것이라고 판단했다.
자산운용사의 3분기 판매관리비는 3979억원으로 전분기비 0.6% 줄었다.
올해 9월 말 현재 자산운용사의 전체 운용자산은 1114조5000억원으로 6월 말보다 1.9% 증가했다. 이 중 펀드 수탁고가 631조원으로 2.5% 늘었고 투자일임 계약액은 483조5000억원으로 1.1% 올랐다. 펀드 수탁고의 경우 공모펀드가 236조1000억원으로 6월 말보다 0.6% 늘었고 사모펀드는 395조원으로 3.7% 증가했다. 공모펀드 수탁고는 채권형과 재간접형 위주로, 사모펀드는 부동산형과 특별자산형 위주로 각각 증가했다.
9월 말 현재 자산운용사는 275곳으로 6월 말보다 15곳 늘었다. 이 중 공모 운용사 75곳, 사모 전문 운용사 200곳으로 구성돼 있다.
금감원은 "신규 자산운용사의 지속적인 진입 증가로 전문 사모 운용사를 중심으로 적자 비율도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신설 자산운용사 등 수익 기반이 취약한 회사의 재무 현황, 리스크 관리 실태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의 운용자산 내용 및 운용구조, 펀드별 환매 형태, 유동성, 레버리지 현황 등에 대해 면밀히 점검·분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